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그래서, ‘주 4일 근무’를 해야 하는 겁니까?

카테고리 없음

by 현잔 2023. 3. 6. 17:00

본문

영국 30여 개 기업에서
‘주 4일 근무’ 시범 운영을 시작합니다.

 

 

6월부터 영국의 기업들이 참여하여 주 4일 근무제의 파일럿 프로그램을 진행한다고 합니다.

단체의 관계자는 ‘주 4일 근무로의 전환’이 회사에는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기회가 되고 직원들에게는 웰빙을 높여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하네요.

 

시범 운영의 결과로 근로자들의 스트레스가 줄었고 번아웃의 위험이 줄어들었으며 워라밸이 향상되었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전문가들의 반응 또한 매우 성공적이라는 평가와 함께 더 짧은 근무로의 변화가 충분히 가능하다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주 4일 근무’가 너무 급진적인가요?'

현재 주 4일 근무에 대한 논의의 배경에는 최근, 근미래에 다가올 혁신적인 기술 발전이 있습니다.

 

더욱이 코로나 팬데믹을 거치면서 ‘일하는 방식의 변화’와 ‘혁신적 기술의 활용’이 어느 정도 경험되고 검증되면서, 이제 주 4일 근무를 운영할 수 있는 환경이 갖추어졌고 이를 확인하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는 것입니다.

 

‘주 4일 근무’를 통해 기대하는 점

생산성이 향상되고 인재 확보와 리텐션에 유리하며
직원의 건강 향상과 함께 보다 고객 지향적 서비스를 가능하게 합니다. 
또한 조직 운영의 효율과 수평적이고 자율적인 조직 문화가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습니다.

 

개인은 자기 개발과 취미, 건강 활동으로 보다 행복한 생활을 누리고 가족과 함께 하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심리적 만족도가 높아집니다. 

공동체의 관점에서는 사회적 커뮤니티 참여가 늘어 소셜 활동이 활성화되고 탄소 배출이 감소하며 경제적 이익 창출도 기대됩니다.

 

 

그럼, ‘주 4일 근무제’는 좋기만 할까요?

고객의 불편이 예상됩니다.

아무리 챗봇이나 AI가 대체한다고 하더라도 사람이 대응하는 시간이 줄어들면서 대기 시간의 증가, 고객 대응의 정확도 등 고객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의 저하가 우려됩니다.

 

주 4일 근무제에 대한 사회적 합의나 제도가 정립되지 않아 많은 혼란이 예상됩니다.
기업 환경이나 의사결정에 따라 매우 다른 효과가 도출될 수 있습니다. 이 밖에도 시행 여부에 따른 박탈감과 격차 확대, 실질 소득 감소의 우려, 사회적 혼란과 기술적 부작용 등 우려의 목소리도 많습니다.

 

 

그래서, ‘주 4일 근무’를 해야 하는 겁니까?

지금까지 진행된 파일럿 프로그램들이 대부분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있고, 이미 인재 확보 경쟁이 치열한 부문을 중심으로 근로시간이나 근로일 단축을 도입하는 회사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인재 확보가 기업의 핵심 경쟁력이 되고, 직원 경험이 HR의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 기업들은 사회적으로 법이나 제도가 만들어지거나 분위기가 무르익을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근무시간 단축이나 리모트 워크 등과 같은 새로운 제도를 과감히 도입하여 이것을 회사의 경쟁력으로 활용하려 합니다.

 

물론 아직 우려되고 극복해야 할 과제들도 있고, 모든 기업이 할 수 있다고 말하기도 어렵습니다.
하지만, 진지하게 고민해 볼 시기인 것은 분명합니다. 그것이 회사와 비즈니스에 유리하고 직원에게도 도움이 된다면, 뒤늦게 하는 것보다 변화를 주도하고 빠르게 대응하는 것이 훨씬 나을 테니까요.

 

 

 

출처

https://www.imhr.work/brand/trial-of-4-day-week/

 

그래서, '주 4일 근무'를 해야 하는 겁니까? - IMHR

'주 4일 근무'의 장점과 단점, 그리고 가능성에 대해 논합니다.

www.imhr.work